Joe Han's Graphy

L2 및 L3 스위치에 대한 이해 본문

스크랩북/REVIEW

L2 및 L3 스위치에 대한 이해

Joe Han 2014. 12. 7. 09:47

L2 스위치, L3 스위치, L4 스위치는 OSI7 layer중 어느 layer에서 수행되는가에 따라 결정

 

L2 스위치

2Layer(Datalink Layer)의 프로토콜인 이더넷, 프레임릴레이, ATM 등에서 스위칭 기능을 수행한다.

MAC Address

 

L3 스위치

3Layer(L3: Network layer)의 프로토콜인 IP, IPX등에서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여, 라우팅 기능을 스위치가 가지게 된다.

IP Address

 

L4 스위치

4Layer(L4: Transport Layer)의 프로토콜인 TCP, UDP등을 스위칭하며, 이때 TCP와 UDP 그리고 RTP(Real Time Protocol) 등의 헤더를 사용하여, FTP, HTTP, TFTP. SMTP 등의 프로토콜 중 어느 것에 대한 요구가 우선하는지 파악한 후 스위칭하게 된다.  주로 서버나 네트웍의 트래픽을 LoadBalancing하는데 이용된다.

 

L7스위치 

패킷의 헤더정보만 확인하는 L4에 비해 payload(e-mail제목/내용의 문자열, HTTP컨텐츠URL, FTP파일 제목, SSL ID, Cookie 정보, 특정 바이러스(e.g. CodeRed, Nimda)패턴등을 분석해 Packet을 처리하므로, 보안에 이용되어지는데 보다 높은 수준의 Intelligence를 갖춘 스위치일수록 더 정교한 패킷의 부하분산(Load Ballancing)및 Qos기능 구현이 가능함.

1) Dos/SYN Attack에 대한 방어

2) CodeRed/Nimda등 바이러스 감염 패킷의 필터링

3) 네트워크 자원의 독점 방지를 통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보안성 강화가 가능함.

 
 
 

 
 
L2 및 L3 스위치에 대한 이해

 

http://cezacx2.tistory.com/1089

 

지식검색 귀하신분의 네트웍 관련 자료

 

TCP-IP_기본_교육.ppt